전체 글 (40) 썸네일형 리스트형 Reducer..... 그렇다 이번주의 주인공은 reducer 되시겠다! ....... 아니 갑자기 난이도 이 무슨...... 아니 그렇다 저번주 과제? 솔직히 콘솔로 예시 싸이트 뜯어서 열심히 만들었다. 물론 편법이긴 해도 그래도 어떻게든 과제는 해결하고 그리고 나서 뜯어서 만든 싸이트를 다시 뜯으면서 이해도 하고 내걸로 흡수하는 시간도 가지고 그랬다. 근데 이번 과제는 음.... 못 뜯는다! 뜯을순 있긴 한데 어쨋든 이제는 내손으로 집적 만들 시간이 온것 같다... 근데 만들렷고 했더니 이번엔 이놈의 redux가 문제가 되었다..... 시작부터 폴더 구조에서 부터 막막하게 만들다니 제법인 녀석이다 ㅋㅋ 어쨋든 금토일 3일동안 redux만 본거 같은데 이제 월요일 부터 어떻게든 하면 그래도 머라도 나오지 않을까.... 이거 .. React-서버리스 서버리스란? 서버리스는 직역하자면 "서버가 없다"라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실제로 서버가 없는건 아니다. 대신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나 가장머신에 서버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처리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그 대신, BaaS(Backend as a Servie) 혹은 FaaS(Function as a Service) 에 의존하여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BaaS vs FaaS BaaS (Backend as a Service) 보통 우리가 모바일이나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게 될 때, 백엔드 서버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서버 개발을 하다보면 고려할 사항이 꽤 많다. 대표적으로 유저가 늘어나게 되면 서버의 확장도 고려해야 하고, 보안성도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탄생한 서비스가 Firebase 같은 .. React에서 DOM 이란? 돔(DOM)이란? 가상돔을 알기 위해 우선 돔의 개념부터 정리해 보자.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영어 뜻풀이 그대로 하자면 문서 객체 모델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문서 객체란 무엇일까? 문서 객체란 html, head, body와 같은 태그들을 javascript가 이용할 수 있는 (메모리에 보관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돔이란 웹 페이지를 이루는 태그들을 자바스크립트가 이용할 수 있게끔 브라우저가 트리구조로 만든 객체 모델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DOM은 HTML과 스크립팅언어(Javascript)를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HTML 태그들을 조종할 수 있는 걸까? document라는 전역 객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캐시가 먼가요? 프로세서에서의 캐시는 용량이 작고 속도가 빠른 메모리인데 용량이 크지만 훨씬 느린 주 기억 장치에 매번 접근하는 것을 피하고자 최근에 사용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그룹의 데이터와 명령어에 짧은 간격으로 잇달아 여러번 접근하는데 왼쪽의 그림과 같은 일련의 수를 합산하는 프로그램과 그 메모리의 표현에서 루프에 있는 명령어 다섯 개는 입력된 수 각각에 대해 한 번씩 실행 되는데 이때 그 명령어들이 캐시에 저장되면 루프 실행 동안 매번 메모리에서 인출하지 않고, 프로그램은 메모리 작업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실행 속도가 상승 한다. 일반적인 프로세서에는 캐시가 2~3개 있으나 흔히 L1, L2, L3레벨이라고 부르고 뒤로 갈수록 용량은 크지만 속도는 느려진다. (가장 큰 캐시는.. 2주차 WIL 음... 머랄까 여전히 얼떨떨하다..... 미니 프로젝트에 던져저서 우왕 좌왕 하다가 끝이 났다. 알고리즘 주차에는 멘붕에 멘붕에 멘붕에 멘붕만 보다가 끝이 났다. 그리고 벌써 React입문을 하였고 금요일 토요일을 지나 일요일째다... 엄청 많은 일이 있었고 엄청 시간이 지난줄 알았는데 이제 2주차 WIL을 작성하고 있는 나를 보게 되니 신기 하였다 ㅋㅋ 분명 저번주 까지만 해도 대체 왜 답이 안나오는 이런 상황을 혼자 힘으로, 조원들과 함께 고생하며 헤쳐 나가야 하는가 화도 나고 울분도 많았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그래봣자 일주일 지났다)나름 소득이 있었던지 내가 듣는 강의가 생판 모르는 소리를 하고 있어도 어떻게든 이해를 하면서 필요한 것만 검색하고 대충 몰라도 되겟지 하는 건 웃으면서 넘기고 있.. javascript의 ES 자바스크립트는 1990년대 Netscape 회사의 Brendan Eich 라는 사람에 의해 최초 개발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가 잘 되자, MS에서 Jscript라는 언어를 개발해 IE에 탑재하였는데, 이 두 스크립트가 너무 제가각이라, 표준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표준을 위해 자바스크립트를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s Association)라는 정보와 통신시스템의 비영리 표준 기구에 제출하였고 표준에 대한 작업을 ECMA-262란 이름으로 1996년 11월에 시작해 1997년 6월에 채택되었습니다. ECMA가 다루는 표준(출처 : 위키) 종종 보게되는 ES란 ECMA Script의 약자입니다. ES5는 ECMA Script5의 규격을 따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ES규.. forEach와 map Array.prototype.forEach forEach 메서드는 for문을 대체할 수 있는 함수다. forEach 메서드는 자신의 내부에서 반복문을 실행한다. 즉, forEach 메서드는 내부에서 반복문을 통해 자신을 호출한 배열을 순회하면서 수행해야할 처리를 콜백 함수로 전달받아 반복 호출한다. const numbers=[1,2,3]; const powers = []; numbers.forEach(x=>powers.push(x**2)); console.log(powers); //[1,4,9] forEach 메서드는 원본 배열을 변경하지 않는다. forEach 메서드의 반환값은 언제나 undefined다. Array.prototype.map map 메서드는 자신을 호출한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면서 .. React 입문주차 S.A.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1. 느슨한 타입과 강력한 타입 1)느슨한 타입 느슨한 형식의 언어 는 변수 를 정의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래밍 언어 입니다. 예를 들어 Perl(해석 형 무료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 은 느슨한 형식의 언어이므로 변수를 선언 할 수 있지만 변수의 형식을 분류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 예에서 첫 번째 줄은 정수 또는 문자열 로 사용할 수 있는 $test 변수를 선언합니다 . 내 $test; $ 테스트 = 1; # 테스트 변수는 이제 정수입니다. $test = "안녕하세요"; # 테스트 변수는 이제 문자열입니다. 2)강력한 타입 변수 를 정의 해야 하는 프로그래..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