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경로 확인 과 TCP/IP
라우팅
-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 최적의 경로는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짧은 거리로 또는 가장 적은 시간 안에 전송할 수 있는 경로
- 라우팅은 전화 통신망, 전자 정보 통신망, 그리고 교통망 등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집이나 사업장에 유료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공급자
-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etc.
- ISP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로 연결됨
* 서로다른 네트워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 두컴퓨터 또는 노드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함 - 일부 국가는 의도적으로 국외에서 국내로 접근하는 게이트웨이를 적게 두기도함(트래픽 감시, 검열 목적)
tracerout(mac), tracert(윈도우)
- 라우팅을 탐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최근에는 보안상 문제로 특정 웹사이트는 IP주소를 표시하지 않는 등 제공 정보가 축소되고 있음
프로토콜 TCP/IP
인터넷이란?
전세계에 걸쳐 파일 전송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의 시스템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데 있어 컴퓨터가 대화를 위해 정해놓은 메뉴얼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그 프로토콜의 집합을 TCP/IP라고 부른다.
TCP란?
최상위 계층 TCP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져와 패킷으로 컴파일 한 다음 동료 TCP계층에서 수신하도록 전송하여 패킷을 유용한 정보 혹은 데이터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TCP는 전달받은 패킷을 재조립하고, 패킷에 손상이 있거나 손실된 패킷이 있다면 재전송을 요청하는 패킷을 전송하여 재전송받는다.
패킷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자른 단위로 인터넷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단위
IP란?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할 규약이다.
수억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하기 위해선 서로의 정체를 알 수 있도록 특별한 주소를 부여했는데 이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
IP는 4개의 숫자로 구성되며 숫자의 크기에 따라 IPv4(32비트), IPv6(128비트)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4는 10진수로 표현해 각 자리를 “.”으로 구분하고 6은 각자리를 4자리 16진수로 표현해 각 자리를 ”:”로 구분한다.
가장 아래 계층인 IP는 올바른 목적지를 찾는 GPS역할을 한다.
1. Application Layer 프로그램(브라우저)가 데이터를 처음으로 받는곳. HTTP, SMTP등의 프로토콜을 가진다.
2. Transport Layer
TCP가 있는 레이어. 포트를 통하여 Application 레이어가 TCP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각각의 포트에 프로토콜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는 80이라는 포트를 사용한다. 이로써, TCP는 어디에서 데이터가 오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포트를 통해 받은 데이터들은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쪼개진다. 이 패킷들은 제각각 가장 빨리 전송될 수 있는 인터넷 루트를 찾아 떠난다. 각각의 패킷들은 TCP header에 어떤 순서로 재조합 할지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3. Internet Layer
패킷들이 인터넷 레이어에 push된다. IP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원천지(origin)과 목적지(destination)에 관한 정보를 첨부한다.
4. Network Layer
마지막으로 패킷들은 네트워크 레이어로 전송된다. 알맞은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MAC주소를 핸들링 하는것 뿐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선로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 해준다.